Skip to main content

Services

JT Counselling은 심리검사, 심리상담, 심리치료를 통해 
마음의 건강검진을 해드립니다.
아동클리닉
청소년클리닉
성인클리닉
심리검사센터
ADHD
소아우울증
학습장애
진로적성
청소년우울증
중독
발표불안
분노조절
사회성발달
우울증
강박장애
공황장애
불안장애
분노장애
외상후스트레스
커플상담
성격검사
지능검사
적성검사
인성검사
뇌파훈련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스트레스와 명절 2

그렇다면 정말로 명절 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은 없는 것일까요? ​ 아마 외국으로의 탈출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요즘의 젊은 가족들은 명절에 해야 할 의무와 같은 일들을 빠른 시간 안에 혹은 그 이전에 모두 끝내고 외국 여행으로 명절의 시간을 즐기는 것 같습니다. 물론 경제적인 부담이 있긴 하지만 여행 그 자체로 스트레스로부터의 자유를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정말 좋은 선택이며 그 자체로 부러움의 대상인 것 같습니다. 또 다른 명절 탈출의 방법은 아예 사람들을 만나지 않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누가 뭐라든 상관하지 않고 다른 가족 구성원들과의 단절을 선택하여 명절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원천부터 차단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좀 쓸쓸하긴 하겠지만 명절스트레스로 고통스러운 것보다 나쁘지 않은 방법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첫번째 방법은 밖으로의 탈출을 통한, 아래의 것은 안에서 문을 걸어 잠그는 방법을 통한 명절스트레스 단절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한다고 과연 정말로 명절 스트레스에서 벗어나는 것일까요? ​ 어느 날 아침 출근을 하기 위해 집 앞을 나섰다. 지하철을 타기 위해 큰 길까지 나왔는데 마침 바로 앞에서 차사고가 났다. 저 멀리서부터 빨간색의 포르쉐가 엄청난 속도로 달려오더니 급기야는 앞의 차를 들이 박은 것이다. 이를 본 A의 반응은 “저 미친 놈, 돈 많다고 좋은 차 타고 속도 자랑할려 지랄같이 달려오더니 결국 들이박았네… 미친. 아침부터 정말 재수없게시리…: A 옆에는 A와 마찬가지로 출근을 하기 위해 길을 건너려는 사람이 있었다. 그의 반응은 “아이고, 큰 일날뻔했네, 그래도 사람이 다치지 않아서 정말 다행이네요. 감사합니다.” 왜 이렇게 두 사람의 반응은 다른 것일까요? 두 사람이, 다른 것이 아닌 똑 같은 사건을 보았는데 왜 한사람은 부정의 생각과 감정을 다른 사람은 감사의 반응을 보인 것일까요? 명절 때마다 명절증후...

Vancouver & Depression

밴 쿠버하면 천당 밑의  999 당이란 별명이 붙어 있는 아름다운 도시로 한국 사람들에게 유명하다 .  나아가 밴쿠버는 매년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손가락 세 개 안에 드는 곳이기도 하다 .  하지만 밴쿠버란 도시엔 항상 어두운 그림자가 자리하고 있으니 그것은 바로 우울이란 녀석이다 .  마치 밴쿠버의 봄과 여름의 아름다운 계절이 이에 이어지는 가을과 겨울의 비 오는 어두움의 계절을 품고 있는 것과 같이 말이다 .  간혹 밴쿠버에서 만나는 한국 분들 중엔 가을과 겨울의 비 오는 날이 좋아 이민을 왔다는 분들도 계시긴 하다 .  비 오는 창밖을 내다보며 멋진 클래식 음악에 취해 따스한 커피를 마시는 모습을 상상해 본다면 이해가 가는 대목이기도 하다 .  하지만 상담을 하는 입장에서는 이러한 따스한 정취 이전에 우울로 인해 일어난 심각한 밴쿠버의 비극적인 사건들이 뇌리에 떠올려진다 .  우울과 스트레스로 고생하던 유학생들의 자살 ,  자신의 우울로 인해 아이들을 죽이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어느 여인의 이야기 등등 ...  하다못해 몇 년 전에는 우울로 고생하는 여인에게 자살을 권한 사람이 경찰에 의해 체포되는 사건도 있었으니 .... © matthewhenry, 출처 Unsplash 많은 사람들이 우울을 그저 왔다가 가는 마음의 감기라 표현하기도 하지만 단순히 이렇게 비유하기엔 우울은 너무도 심각한 병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15% 가 일생에 한번 이상 우울을 경험하며 우울증 환자의 약  10% 가 자살 및 가족동반사망으로 그 생을 고한다고 한다 . 2017 년 한국의 우울증 진료인원은  68 만천 명으로 전체인구의  1.5% 라고 하니 이 통계치만 보더라도 그저 감기로 가볍게 넘기기에는 너무도 심각한 것이 바로 우울증...

에스키모의 막대

이재준님이 쓴 <절대 긍정으로 산다>에서 소개된 <에스키모의 막대>는 화와 분노에 대해 우리에게 많은 깨달음을 준다. ​ 에스키모의 막대: 에스키모인들이 분노를 다루는 방법 ​ 에스키모는 분노가 밀려올 때면 무작정 걷는다. 분노가 풀릴 때까지 하염없이 걷다가, 마음에 평안이 찾아오면 그 때 되돌아선다. 그들은 되돌아설 때 바로 그 지점에 막대를 꽂아 둔다. 살다가 또 화가 나 어쩔 줄 모르고 걷기 시작했을 때, 이전에 꽂아 둔 막대를 발견한다면 요즘 사는게 더 어려워졌다는 뜻이고, 그 막대를 볼 수 없다면 그래도 견딜 만하다는 뜻이 된다. ​ 내 안의 나와 끝없는 얘기를 나누며 평화로움이 찾아올 때까지 가 보라. 그리고 그 곳에 막대를 꽂고 돌아오라. 슬픔과 분노로 어찌할 수 없을 때 막대를 꽂는 사람은 행복하다. 위로하며 마음의 평화를 얻게 도와주는 또 다른 내가 항상 있기 때문이다. 참고 용서하는 것이 인격의 힘이다. 사람다움이란 자제력에서 드러나는 것이다. ​ 화를 이야기하자면서 에스키모가 분노를 다루는 방법을 이야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전에 의하면 화병은 울화병의 준말로 화의 기운을 가진 분노가 쌓여 울(鬱)해진(답답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것이 불과 같은 양태로 폭발하는 질환을 일컫는다. 따라서 한국인의 정서로 화는 분노의 또 다른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마음 안에 쌓이고 쌓인 분노가 불과 같이 올라오는 것이 화이기 때문이다. 결국 화란 분노가 표현되어진 형상이라 할 수 있다. ​ 분노의 문제에 있어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분노의 대상이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표현하는 분노의 대상이 나를 화나게 한 그 사건이나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가만히 그 내면을 살펴보면 화와 분노의 대상은 실은 그것이나 그 사람이 아니라 내 자신인 것을 우리는 깊이 이해할 필요가 있다. 분노는 결국 내...